수산화리튬관련 대장주 추가상승가능 주식 TOP7
리튬플러스가 순도 99.999%의 전고체 배터리용 초고순도(Ultra High Purity) 수산화리튬 제품을 출시하고, 전고체 배터리 소재업체에 샘플을 제공했다고 21일 밝혔습니다.
전고체 배터리는 배터리 양극과 음극 사이의 전해질이 액체로 된 현행 리튬이온 2차전지와는 달리 전해질까지 모두 고체로 구성된 리튬 2차전지로, 에너지 밀도가 높고 발화 가능성이 낮아 차세대 꿈의 배터리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데, 현재 일본, 미국 등 해외기업과 국내기업들이 전고체 배터리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시제품 생산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전고체 배터리 소재로 사용되는 수산화리튬은 현행 리튬이온 2차전지 양극재 소재로 사용되는 수산화리튬에 비해 더 높은 순도를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번에 리튬플러스가 양산에 성공한 전고체 배터리용 초고순도 수산화리튬은 순도가 99.999%로, 이는 순수 수산화리튬 성분을 제외한 전체 불순물의 함량이 10 ppm(백만분의 일) 미만으로 관리돼야야 한다는 뜻으로 전 세계 주요업체의 제품과 비교해보더라도 현재 양산가능한 수산화리튬가운데 최고 수준의 순도에 해당한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2022년 대비 급락했던 탄산리튬 가격이 최근 저점에서 약 2배이상 상승하며 지속적인 수요증가와 중국의 제한적인 공급으로 또 다시 리튬가격은 상승사이클에 접어들것 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그럼 수산화리튬관련 대장주 TOP7을 알아보겠습니다.
하이드로리튬
동사는 토목자재 부품제조 및 판매, 시공, 연구개발을 목적으로 1995년 1월 27일 설립됨. 동사는 2022년10월13일 리튬플러스에 인수되었으며 임시주주총회에서 이차전지 소재제조 및 판매사업, 전기전자반도체 재료의 제조 및 판매업, 폐전지 재활용사업, 광물자원개발 및 판매업 등 신규사업을 사업목적에 추가했습니다. 기존의 계속 사업인 영구앵커, PAP옹벽보강 사업등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리튬플러스는 하이드로리튬의 최대주주로 하이드로리튬이 판매하는 수산화리튬과 탄산리튬의 생산을담당하고 있습니다.
포스코홀딩스
포 스코홀딩스가 아르헨티나에서 확보한 리튬광물을 배터리 소재용으로 가공할 수 있는 설비를 전남 율촌에 구축한다고 합니다. 포스코홀딩스는 지난 6월 13일 전남 율촌1산업단지에서 배터리용 수산화리튬 생산공장 착공식을 진행했다고 밝혔습니다. 생산규모는 연간 2만5000t으로, 이는 전기차 약 60만대를 만들 수 있는 양이라고 합니다. 2025년 준공을 목표로 약 5750억원을 투자하는데 포스코홀딩스의 100% 자회사인 포스코리튬솔루션이 자금 조달 및 공장 건설과 운영을 맡는다고 합니다.
특히 이번 수산화리튬 공장 착공은 지난해 10월 발표한 아르헨티나 염수리튬 2단계투자의 일환인데 수산화리튬의 원료가 되는 탄산리튬을 생산하는 상공정은 포스코홀딩스가 보유한 아르헨티나 염호에 위치하고, 수산화리튬을 생산하는 하공정을 국내에 둔다는 결정에 따른 것 입니다.
리튬포어스
리튬플러스는 현재 생산라인에 적용하고 있는 초고순도 수산화리튬 제조 기술이 산업통상자원부의 신기술(New Excellent Technology·NET) 인증을 받았다고 지난 5월 15일 밝혔습니다. 이번에 신기술로 인증받은 기술은 저순도 탄산리튬을 활용해 이차전지용 초고순도 수산화리튬을 생산하는 기술인데 관련 기술은 현재 금산추부 제1공장에 적용 중이라고 합니다.
리튬플러스 관계자는 “탄산과 불순물 함유량이 낮은 고품질의 수산화리튬을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에 유해한 황산, 유기용매 등의 독성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폐수 발생이 적어 환경친화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코스모신소재
코스모신소재는 미국 텍사스주 시에라 블랑카 인근에 위치한 ‘라운드 톱(Round Top)’ 리튬 광산 개발 컨소시엄에 생산물 구매자로 참여할 예정인데 컨소시엄을 주도 중인 텍사스광물자원공사와 USA레어어스 측이 지난 2019년 8월 진행한 예비경제성평가(PEA)에 따르면 이 광산에서는 최소 20년간 매년 2212t의 희토류 산화물(REO)과 8956t의 탄산리튬을 생산할 수 있다고 합니다. 코스모신소재 관계자는 “해당 컨소시엄에 생산물 구매자로 참여하기 위해 협의 중”이라며 “독점적 유통권을 가질 지에 대한 여부는 확실하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STX
STX는 6월 12일 서울 중구 STX사옥에서 중국의 리튬 생산업체 ‘영정리튬전지’와 국내에서의 리튬 생산 및 판매 등을 핵심 내용으로 하는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습니다. 영정리튬전지는 차량용 배터리 분야 전문의 리튬 생산업체로 연간 6만 톤의 수산화리튬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리튬의 수분함량 감축, 미세입자 분쇄, 기존 공정대비 환경오염을 최소화하고 최단시간에 리튬을 경쟁적 원가로 직접 추출할 수 있는 흡착식 그린 직접리튬공정(DLE) 등 다양한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강원에너지
수산화리튬 부분의 경우, 자회사인 강원이솔루션은2022년 8월 10일 80억원의 유상증자를 통해 수산화리튬 및 양극재 첨가제 생산공장 건립에 투자했으며, 2023년 10월초 완공 예정이다. 월 1,000톤의 수산화리튬을 생산할 수 있는 캐파이며, 2023년 첫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차증권의 곽민정 연구원은 "무수수산화리튬은 하이니켈계 양극재 공정의 핵심소재인 수산화리튬내 수분을 완전히 제거한 소재로, 기존 유수수산화리튬 대비 부피는 줄어들고, 리튬 투입을 2배 이상 늘릴 수 있어 생산성 향상과 전력 등 운영비 절감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며 "이를 통해 이차전지 소재 시장내의 경쟁 우위를 지속적으로 확보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이브이첨단소재
동사는 지난5월 말 언론을 통해 국내A사와 함께 중국 E사로부터 최근 가격 상승 중인 배터리급 ‘수산화리튬’ 40톤을 확보해 국내 C사와 E사 등에 공급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지난해 4분기에 하이드로리튬에 ‘탄산리튬’을 공급했고 지난 3월에는 국내 C사에 ‘수산화리튬’을 공급했으며, 지난5월에 확보하여 국내에 공급 한 수산화리튬 물량 이후에도 꾸준히 공급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돈이 돈버는 투자이야기 > 돈버는 주식-관심종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토류 대체 페라이트 관련 대장주 TOP 3 (2) | 2023.12.23 |
---|---|
2차전지 배터리 음극재 흑연 관련 대장주 수익가능주식 TOP5 (0) | 2023.06.23 |
킬러문항배제 온라인 교육관련 대장주 추가상승가능주식 TOP5 (0) | 2023.06.21 |
테슬라 전기차 충전 관련 대장주 추가상승가능주식 TOP 5 (1) | 2023.06.21 |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 대장주 추가 상승가능 주식 TOP5 (0) | 2023.06.19 |